티스토리는 블로그를 비공개로 전환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글 목록 관리, 카테고리 관리로 비공개로 전환해야 한다.

 (블로그 폐쇄는 지금까지 올려 놓은 글들을 모두 삭제해야 한다.)

먼저 글 목록으로 블로그를 비공개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글 목록으로 블로그를 비공개로 전환하는 방법

블로그 관리자 페이스로 들어간다.

(프로필 하단에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한다.) 

오른쪽의 글 관리 부분을 선택한다.

 

 

글 관리를 선택하면 자신이 쓴 글 목록들이 나타난다.

화면 상단의 글 관리 아래에 있는 체크박스를 선택한다.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체크박스 옆에 있는 변경 부분을 선택한다.

그러면 하위 메뉴들이 나타나는데 그 아래에 있는 비공개를 선택한다.

 

 

블로그 글들이 비공개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카테고리 관리를 통해 블로그를 비공개로 전환하기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서 카테고리 관리로 들어간다.

 

비공개로 전환시킬 카테고리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화면 오른쪽에 메뉴들이 나타나는데 관리를 선택한다.

 

 

관리 메뉴창에서 공개 설정 부분을 비공개로 선택한다.

 

 

 

 

 

티스토리 메인 화면에는 기본적으로 방문자 카운터가 표시되는데 따로 삭제하는 버튼이 없기 때문에 직접 html 메뉴에 들어가 삭제를 해야 한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방문자 카운터를 제거하는 법을 알아보자.

먼저 티스토리 로그인 후에 프로필 밑에 있는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서 블로그 관리 페이지로 들어간다.

왼쪽의 메뉴 중에 하단부분에 스킨 편집 메뉴로 들어간다.

 

 

 

스킨 편집 메뉴를 클릭하면 편집 화면이 나오는데 오른쪽에 있는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한다.

 

 

 

 

Ctrl+F로 yesterday를 입력해서 아래 이미지와 같이 101~103번 줄에 있는 yesterday, today, total 부분을 찾아 삭제해 준다.

한가지 팁은 나중에 원복할 경우를 대비해서 기존의 코드를(삭제하는 부분의 코드를) 따로 메모장 같은 곳에 저장해 두는 것을 추천한다.

 

회색부분이 삭제할 부분이다

 

 

삭제완료

 

 

적용을 클릭하고 새로고침 하면 방문자 숫자가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링크로 들어간다.

 

자격 학점환산 | 자격 | 학점인정 대상 | 학점은행제 소개 | 학점은행

홈으로 이동 학점은행제 소개 학점인정 대상 이전학점인정 대상 자격 학점환산 --> 자격 학점환산 -->

www.cb.or.kr

 

 

 

 

전공 박스 오른쪽에 찾기 버튼을 눌러서 전공을 선택해 준다.

 

 

 

 

전공을 검색하면 아래에 해당 전공이 뜨는데 클릭해 주면 된다.

 

 

자격증도 마찬가지로 찾기버튼을 눌러 검색 한다.

 

 

자격증 명과 날짜를 입력하고 검색을 눌러준다.

날짜는 2020-04-01의 형식으로 입력해 준다.

미취득 상태인 경우는 랜덤한 이전 날짜로 입력하고 검색을 눌러 준다.

 

 

 

해당 자격증을 클릭하고 메인화면에서 추가 버튼을 누른다.

취득자격증 목록 박스에 자격증이 추가 된 것을 확인하고 이수학점 계산 버튼을 누른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점은행제] 학기 구분, 인정가능 학점  (0) 2020.04.07
모스 부호  (0) 2020.04.05
[유튜브] 본인 댓글 확인하는 법  (0) 2020.04.04
[이산수학] 모순명제  (0) 2020.04.03
경기지역화폐 카드만들기  (0) 2020.04.02

 

학점은행제의 학기 구분과 인정 가능한 학점을 알아보자.

 

 

학점은행제의 학기의 구분은 1학기, 2학기로 나누어진다. 

1학기: 종강일이 3월 1일 부터 ~ 8월 31일 까지이다.

2학기: 종강일이 9월 1일 부터 ~ 다음년도 2월 말까지이다.

 

학기 인정이 종강일 기준이기 때문에 학기 끝 달과 학기 시작 달을 이용해 종강일에 맞춘다면 1년 수업을 6개월만에 마무리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학기 끝달과 학기 시작달을 이용하기 위해 5월에 1학기 수업 신청을 하고 6월에 2학기 수업 신청을 해서 1학기 수업은 8월에 끝나고 2학기 수업은 9월에 끝나도록 만든다.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5.1 강의시작 ~  8.15 강의 끝 / 1학기 끝

 
 

6.1 강의시작 ~ 9.15 강의 끝 / 2학기 끝

 

 

온라인 교육원인 원격평생교육원이나 사이버대학은 교육원에 따라 매월 개강반과 6개월 개강반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1과목의 수료기간은 15주이며 1과목당 3학점씩 인정 가능하다.

 

 

 

최대 인정가능 학점은?

* 한 학기에 최대 인정가능한 과목수는 8과목이다.

* 동일 년도인 1년(20년 1학기, 20년 2학기) 동안에 학점 인정이 가능한 과목 수는 14과목이다.

* 서로 년도가 다른 1년(20년 2학기, 21년 1학기) 동안에 학점 인정이 가능한 과목은 16과목이다.

 

이를 초과할 경우 학점으로 인정 받을 수 없다.

 

예를들면

2020년 1학기에 8과목을 신청하고 2학기에 8과목을 신청한 경우 학점 인정이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1년에 인정이 가능한 14과목이라는 조건을 불충족 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16과목 중에서 14과목인 42학점만 인정 받을 수 있다. 

 

2020년 1학기에 8과목을 신청하고 2학기에 6과목을 신청한 경우 학점 인정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한 학기에 최대 8과목 인정이라는 조건을 충족하였고 1년 동안 총 인정가능한 14과목이라는 조건을 충족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때문에 14과목이 인정되어 총 42학점이 인정 된다.

 

2020년 1학기에 7과목을 신청하고 2학기에 7과목을 신청한 경우 학점 인정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한 학기에 최대 인정 8과목 조건을 충족했고 1년에 인정 가능한 14과목이라는 조건도 충족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14과목이 인정되어 총 42학점이 인정 된다.

 

2020년 2학기에 8과목을 신청하고 2021년 1학기에 8과목을 신청한 경우 학점 인정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한 학기에 최대 인정 가능한 8과목이라는 조건을 충족했고 1년에(동일년도 개념) 인정이 가능한 14과목이라는 조건을 충족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년도 기준으로 14과목 제한에 해당되지 않아서 각 년도당 한 학기에 최대 인정가능한 8과목이 모두 학점인정이 가능하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점은행제] 전공별 자격증 점수 환산하기  (0) 2020.04.07
모스 부호  (0) 2020.04.05
[유튜브] 본인 댓글 확인하는 법  (0) 2020.04.04
[이산수학] 모순명제  (0) 2020.04.03
경기지역화폐 카드만들기  (0) 2020.04.02

 

 

모스 부호란?

통신 부호 중 하나

짧은 발신 정류와 긴 발신 전류를 조합하여 알파벳과 숫자를 표기한 것

1844년 최초로 미국의 볼티모어와 워싱턴 D.C 사이 전신연락에 사용되었다

 

 

모스 부호 규칙

점은 1초

선은 3초

 

문자 사이의 띄어쓰기는 3초

단어 사이의 띄어쓰기는 7초

 

똑같은 문자를 쓸때 (AAA) 문자 사이에 1초의 공백을 준다 (・-1초・-1초・-1초)

 

 

 

구조신호

SOS  ・・・/---/・・・

HELP  ・・・・/・/・-・・/・--・

 

 

모스부호 인용의 예)

베트남전 당시 전투기 조종사였던 미 상원의원 제레미아 덴튼은 북베트남의 포로가 되면서 미군의 잔인함을 선전하기 위한 북베트남의 인터뷰에서 눈으로 고문이라는 단어로 북베트남이 포로를 학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렸다 

 

 

 

 

로마자 모스 부호

 

 

 

A

 ・-

N

-・

B

-・・・

O

---

C

-・-・

P

 ・--・

D

-・・

Q

--・-

E

 ・

R

 ・-・

F

 ・・-・

S

 ・・・

G

--・

T

H

 ・・・・

U

 ・・-

I

 ・・

V

 ・・・-

J

 ・---

W

 ・--

K

-・-

X

-・・-

L

 ・-・・

Y

-・--

M

--

Z

--・・

 

 

 

숫자 모스 부호
     
1  ・----,  ・- 6 -・・・・
2  ・・---,  ・・- 7 --・・・, -・・・
3  ・・・--,  ・・・- 8 ---・・, -・・
4  ・・・・- 9 ----・, -・
5  ・・・・・ 0 -----, -

 

 

한글 모스 부호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호 모스 부호  
장음「 -・・・・-
마침표 「.  ・-・-・-
쉼표 「, --・・--
단락「  ・-・-・・
여는 괄호「 -・--・
닫는 괄호「  -・--・-
물음표「?」 ・・--・・
Fraction Bar「/」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