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란?

File Transfer Protocol 즉 파일을 옮기는 방법이다. 

 

접속 방법은 다음과 같다.

c:\ ftp 111.222.333.444

c:\ ftp www.daum.net

ftp>

 

파일전송 방법을 선택한다.

binaty - 메모리의 값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ascii - 문자 자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기본 옵션들을 설정한다.

hash - 파일의 전송 진행 상태를 #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prompt - 파일 전송시마다 확인 여부를 선택한다.

 

pwd - ftp 서버에서 현재 나의 위치를 알려준다.

Is - 현재 ftp서버의 파일 정보를 list up 한다.

 

cd directory - ftp 서버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

 

!를 사용하면 ftp접속 전의 시스템 명령 사용이 가능하다.

(# !dir - windows의 c:\위치에서 접속했다면 c:\의 파일 정보를 list up한다.) 

 

파일 다운받기

filename.txt 파일 한개를 다운로드하기

ftp> get filename.txt

확장자가 txt인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하기

ftp> mget *.txt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ftp> mget *.*

접속 당시 위치가 c:\이기 때문에 받은 파일도 c:\에 위치한다.

 

파일 업로드하기

c:\ 위치에 있는 filename.txt 파일 한개를 업로드하기

ftp> put filename.txt

 

c:\ 위치에서 확장자가 txt인 파일을 모두 업로드하기

ftp> mget *.txt

 

c:\ 위치에 있는 모든 파일을 업로드하기

ftp> mput*.*

 

접속을 종료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ftp> bye

ftp> quir

 

ftp는 명령어가 많지 않아서 약어를 사용해도 대부분 인식이 가능하다.

ex. bye =>by

ex. binary =>bi

ex. hash => ha

 

 

FTP서버란?

파일 전송 서비스이다.

 

choort :

ftp에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때 /home/(user)로 보이는 것을 /로 보이게 한다.

NO 일때 chroot_list파일에 등록된 유저만 접속이 가능하다. YES 일때 파일에 등록된 유저는 deny.

 

기본설정 파일 /ect/vsftpd/vsftpd.conf

 

userlist :

유저 접속 권한을 설정한다. userlist_deny와 같이 쓴다. (defaul 값=no)

userlist_deny가 NO 일때 user_list 파일에 등록된 유저만 접속 가능하다. YES 일때 파일에 등록된 유저 deny.

 

유저 권한 설정 파일 /ect/vsftpd/ftpusers & /ect/vstfpd/user_list

 

tcp warppers :

접속 가능한 ip를 설정한다.

hosts.deny 파일에 등록된 ip는 deny.host.allow 파일에 등록된 ip는 모두 허용한다.

두 파일 중 allow가 더 우선된다.  vsftpd : all 입력시 모든 ip를 의미한다.

 

ip 권한 설정 파일 /ect/hosts.deny & /ect/hosts.allow

'프로그래밍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계층(Layer)이란?  (0) 2020.04.28
해밍 코드(Hamming Code)의 오류 검사  (0) 2020.04.27
해밍코드의 체크 비트 구하기  (0) 2020.04.26
해밍코드(Hamming Code)  (0) 2020.04.25
패리티 비트(Parity Bit)  (0) 2020.04.24

+ Recent posts